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정신분석
- interdependent self
- 집단주의
- traditional medicine
- 시교차
- 개인주의
- 상호독립적 자기
- 따뜻함주의
- 행동주의
- sexdifference
- #크립키
- collectivism
- 연결주의
-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테스토스테론렉스
- #산업및조직심리학
- heartism
- cultural psychology
- #정신역동
- 도덕발달
- 시각의 흐름
- independent self
- ctm
- 상호주관적 자기
- 시각처리
- 도덕발달단계론
- individualism
- memory
- 외측 슬상핵
- 빅토리아 시대
- Today
- Total
목록memory (2)
지식저장고
기억연구는 심리학과 생물학의 합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억연구는 대개 심리학에 속하나, 기억연구가 본격적으로 촉발된 계기는 뇌손상 환자 HM에게서 다양한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지금도 많은 생물학자들이 기억연구에 관여하고 있으며, 물론 많은 심리학자들도 기억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기억은 신경과학과 주류 심리학이 잘 조화된 분야 중 하나이다. 1.개요외현기억은 일반적으로 전전두피질(PFC)과 해마의 상호작용이다. 해마는 주변기관과 협력해서 기억을 만든다. 대부분의 암묵기억은 해마를 거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해마와 주변기관은 외현기억 전체와 암묵기억 일부에도 영향을 주는 주요 기억장치이다. 해마는 변연계 내부에 위치해 있으며 앞에는 편도체가 위치하고 주변을 medial temporal l..
기억(memory)은 시간에 걸쳐 정보를 저장하고 인출하는 능력으로, 신경과학적으로 보면 경험이 유기체의 뇌와 행동을 변형하는 메커니즘이나 과정을 말한다. 이름 외우기나 아는 사람 구별하기, 다양한 물체나 장소 식별하기 등 기억은 우리의 거의 모든 삶과 연결되어 있다. 인식론적으로 보면 인간은 기억을 통해 세상의 각 물체와 특성들 간의 관계를 찾아내고 거기에 뇌와 행동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의식적으로도, 무의식적으로도 일어난다. 기억은 단순히 세상의 인과관계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능동적으로 세상에 대해 알아가려고 한다. 영어권 아이들은 went를 goed라고 하거나 teeth를 tooths라고 하는 등 문법을 과잉일반화하는데 이는 인간의 기억 메커니즘이 수동적인 정보수용 메커니즘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