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ndividualism
- 도덕발달단계론
- ctm
- 개인주의
- 외측 슬상핵
- 테스토스테론렉스
- #크립키
- 시각의 흐름
- alternative medicine
- #정신분석
- traditional medicine
- cultural psychology
- 도덕발달
- #산업및조직심리학
- 빅토리아 시대
- complementary medicine
- interdependent self
- 시교차
- 연결주의
- 시각처리
- sexdifference
- #정신역동
-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상호독립적 자기
- 따뜻함주의
- 행동주의
- 상호주관적 자기
- independent self
- collectivism
- 집단주의
- Today
- Total
지식저장고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추락의 형태를 한 상징들2 본문
동물의 살을 먹는 행위는 언제나 죄악과 연결된다. 레위기에서는 월경혈에 대한 금기를 언급한 후, 피를 먹는 것에 대한 금지도 언급한다. 왜냐하면 육체의 영혼은 피 속에 있기 때문이다. <분데헤시>에서는 살을 먹는 행위가 성과 이상한 신화로 묶여 있다. 악의 상징인 아리만은 조하크(zohak) 왕의 요리사인데, 최초의 인간 부부에게 고기를 먹임으로써 그들을 유혹한다. 바로 거기에서 사냥이 탄생했고, 알몸의 남녀가 짐승의 가죽을 덮으면서 의복이 생겨났다. 마고 신화에서도 인간은 고기를 먹으면서 타락한다. 채식주의는 순결과 연결되어 있고, 인간은 동물을 죽이면서 타락한다. 이것은 일종의 추락으로, 우리의 배를 향한 정신적 추락이다. 1
배는 심연이다. 바슐라르 2는 셰익스피어의 저작에서 배가 '악덕의 부대자루'라고 표현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보두앵도 위고의 작품에서 배나 하수도같은 움푹한 곳이 부정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고 지적한다. 레미제라블에서 도시의 하수도는 혐오감과 심한 공포의 이미지들이 명확해지는데, '어둡고 구불구불한 용종이며 페스트가 풍겨나오는, 지옥을 뿜어내는 용의 아가리이다.' <파리의 노트르담>에 나오는 기적의 궁전은 도시의 하수구이고, <일꾼들>에서는 자크레사르드의 궁전에서 악취가 풍기고 우글거린다. 3
위고의 작품에서 정신적인 하류층은 모두 하수구의 상징이자 쓰레기의 상징이면서 소화와 항문에 관련된 이미지들을 불러온다. 미로는 용이나 '길이가 열다섯 발 되는 지네'로 나타난다. 살아있는 하수도인 창자는 레미제라블의 '리바이어던의 창자' 단락에서 신비하고 게걸스러운 용의 이미지로 나타나는데, 이 리바이어던의 창자는 동시에 죄악의 장소이자 악의 가죽부대, 바빌론의 소화기관이다. <웃는 사나이>에서도 하수도는 '구불구불한 창자'고, 위고의 시 <독수리>와 <신>에서는 검고 불길한 물의 두번째 상징이자 '영원한 쓰레기들이 비처럼 내리는 스틱스 강이라는 하수도'가 나타난다.
하수도는 후각과 관련된 묘사와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창자는 숨막히고, 악취를 풍기며, 구역질나게 한다. 벨제불(beelzeboul)은 불가타 성서의 벨제부브(beelzeboub)가 변형된 것인데, 히브리어로 '악취의 왕자'를 뜻하는 제벨(zebel)에서 왔다. 4
프로이트는 구강기라는 개념을 통해 배를 향한 추락(삼키기)과 씹어먹기를 연결했다. 이미 우리는 짐승의 아가리가 짐승의 부정성을 증폭한다는 점을 앞에서 보았다. 해로운 배는 위협적인 아가리로 무장했으며, 식도라는 구불구불한 미로로 되어 있다. 이 미로는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에 의해 꾸불꾸불한 창자로 된 '소용돌이'로 묘사된다. 아가리에서 시작하여 소화관을 지나 항문으로 떨어지는 배의 구조는 미로의 형태를 한 완전한 심연이며, 이것이 살과 동일시되면서 우리의 살에도 부정성이 부여된다. 5
지금까지 우리는 시간이 동물과 괴물의 모습을 하고 나타나는 것을 보았다. 또한 시간은 우리의 유한하고 부정적인 소화관 덩어리로도 나타난다. 우리가 영원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우리 안의 동물을 무찌르고 신체를 격하해야 한다. 밤의 체제에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지만, 우리가 앞에서 다룰 낮의 체제에서는 이러한 시간의 모습에 저항할 여러 무기들을 제공한다.
- Lenormant, F. (1882). Les origines de l'histoire d'après la Bible et les traditions des peuples orientaux: L'humanité nouvelle et la dispersion des peuples.(in 2 parts) (Vol. 2). Maisonneuve & cie. [본문으로]
- Bacherlard, G. (1948). La terre et les reveries de la volonte. [본문으로]
- Baudouin, C. (2008). Psychanalyse de Victor Hugo. Editions Imago. [본문으로]
- Langton, E. (1951). La demonologie. Etude de la doctrine juive et chretienne. Son origine et son developpement. Trad, de G. Waringhien. Pref. de G. Ryder Smith, Payot, Paris. [본문으로]
- Bacherlard, G. (1948). La terre et les reveries de la volonte. [본문으로]
'자료실 > 상상계의 인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상승의 상징들 (0) | 2022.07.07 |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홀과 검 (0) | 2022.07.07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추락의 형태를 한 상징들 (0) | 2022.07.07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밤의 형태를 한 상징들3 (0) | 2022.07.07 |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밤의 형태를 한 상징들2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