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저장고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밤의 형태를 한 상징들3 본문

자료실/상상계의 인류학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해설 - 밤의 형태를 한 상징들3

과학주의자 2022. 7. 7. 17:29

물은 여성성도 상징하는데, 이 2가지 요소는 월경혈로 연결된다. 그리고 물과 달의 연결도 이를 강화한다. 엘리아데[각주:1]는 물이 월경과 연합하는 동시에, 발아력 있는 물이 달과 연결되기 때문이라고 제안한다. 신화학에서 물은 달과 동일하다. 이로쿼이나 멕시코인들, 바빌로니아, 또는 이란의 아르드비수라 샘(ardvisura)과 아나히타 여신(anahita)이 그러하다.[각주:2] 멕시코에서도 달은 물의 신인 틀랄록(tlaloc)의 아들이다.[각주:3] 마오리와 에스키모들도 옛 켈트 족처럼 달과 조류의 관계를 알고 있었고, 리그베다에서도 달과 물을 연결한다. 그래서 달의 재앙은 홍수였으며, 홍수는 개구리와 같은 달의 동물이 토해낸 물에 의해 일어났다.[각주:4]

 

달은 물의 상징이라기보다는, 사실 시간의 상징이다. 왜냐하면 태양과 달리 달은 차고, 기울고, 사라지는 천체이기 때문이다. 달은 시간에 따라 변하고, 죽음과 부활을 반복한다. 엘리아데도 그랬듯이 우리의 옛 조상들은 달을 통해 계절을 가늠했다. 밤의 천체와 관련된 인도 아리아어의 오래된 어근인 메(me)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마스(mas)가 되었고, 아베스타어에서는 마(mah), 고트어에서 메나(mena), 그리스어의 메네(mene), 그리고 라틴어에서의 멘시스(mensis)가 되었는데, 모두 '측량'이라는 뜻을 가진다.

 

많은 문화에서 월식은 달이 괴물에게 먹힌 결과라고 해석되고,[각주:5] 비슷한 이유로 달의 신성성은 지옥과 죽음에 연관된다. 페르세포네와 헤르메스, 디오니소스가 그러한 예이다. 아나톨리아에서 달의 신인 멘(men)은 동시에 죽음의 신이고, 러시아 민담에 나오는 불사신이자 못된 귀신인 코츠체이(kotschei)도 그러하다. 이런 양상은 폴리네시아의 토칼라프 족이나 이란, 그리스에서도 나타난다. <천국> 3장에 나오듯이 단테 시대의 사람들은 달을 죽음의 나라로 여겼고, 코트뒤노르 사람들은 달의 뒷면에 땅에 쏟아진 모든 피를 빨아들이는 거대한 아가리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이런 식의 민담은 유럽에서 드물지 않고,[각주:6] 아르메니아 민담이나 브라질 인디언의 전승에서도 검은 달에는 사악한 힘이 부여된다. 마태복음이 악마적인 소유를 암시할때 사용하는 동사 seleniazesthai는 '달처럼 되기'라는 뜻이다. 그밖에 사모예드나 다야크(dayak) 족에게 달은 악과 흑사병의 근원이고, 인도에서 달은 니르티(nirtti)라 불리는데 이는 폐허라는 뜻이다.

 

뒤랑은 달과 물이 월경을 통해 연결된다고 주장한다. 달의 주기는 월경 주기와 일치한다.[각주:7] 이 신기한 현상은 필시 원시인들의 주의를 끌었을 것이다.[각주:8] 프랑스에서 월경은 '달의 순간'이라 불리고, 마오리 족에서는 '달의 병'이라 불린다. 월경의 한자어(月經)에 달 월 자가 들어간다. 다이아나와 아르테미스, 헤카테, 아나이티스(anaitis), 프레이야와 같은 달의 여신들은 흔히 임산부의 권한도 갖는다. 북미 인디언들은 달이 기우는 것을 보고 달이 월경을 한다고 표현했다.

 

달은 월경의 담지자이기도 하면서 임신을 일으키는 존재로도 여겨졌다. 그래서 에스키모의 젊은 처녀들은 임신이 될까봐 달을 쳐다보지 않고, 브르타뉴의 처녀들도 '초승달 모양이 될까봐' 달을 쳐다보지 않는다.[각주:9] 뱀은 달의 동물로서 가끔 여자들과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전설은 플루타르코스나 파우사니아스, 디온 카시우스에서도 발견되고[각주:10] 아브루치(abruzzes)에서는 여전히 믿어지고 있다. 또한 유대인과 힌두, 페르시아, 호텐토트, 아비시니아, 일본에서도 비슷한 전설이 발견된다.[각주:11] 한편 달은 다른 전설에서는 여자가 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달은 아름다운 젊은 여자로 변한다.[각주:12] 그녀는 무시무시한 처녀 사냥꾼이 되어서 자신의 연인을 찢어죽이고, 그 중 마음에 드는 자는 엔디미온(endymion)에게 그랬듯이 영원히 잠에 빠지도록 한다. 이러한 여성상은 낭자하는 피와 부정적 가치가 부여된 팜므 파탈로서의 부정적 여성성의 원형이다.

 

팜므 파탈과 관련있는 원형 중 하나가 '무서운 어머니' 원형이다. 무서운 어머니는 모든 마녀와 흉측한 애꾸눈 노파, 그 밖의 심술쟁이 노파의 원형이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늙고 위협적인 노파들의 캐리커처와 유행에 뒤떨어지고 우스꽝스러운 멋내기 좋아하는 여자들, 거대한 숫염소인 '거장 레오나르'를 숭상하며 구역질나는 음식을 준비하는 마녀들을 표현한 고야의 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그래서 고야의 작품 82개 중 40개에서 늙은 여자와 마녀들이 희화화되어 등장하고, <귀머거리의 집>에서는 흉측한 파르카이가 사투르누스와 짝을 이루고 있다. 셀리에[각주:13]는 시인 라마르틴의 시에서 라크미가 치명적인 흡혈귀의 낭만적 프로토타입이자, 매혹적인 외모에 근본적인 잔혹함과 타락이 결합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위고의 작품에도 무서운 어머니가 등장해서, <구닥다리 노인>에 나오는 귀앙위아르마는 릴리트와 연결된다.[각주:14] 숙명(ananke) 그 자체라고 선언된 릴리트는 피를 빨아먹는 여자 마귀이고, 세상의 어두운 영혼이자 죽음의 영혼이다. 위고의 사상 안에서 숙명은 악과 일치하고 물질(matiere)과도 일치한다.[각주:15]

 

보부아르도 말했듯이, 신화에서 여성은 타자적이고 주변적이다. 그래서 원시언어에서 여성은 무생물, 양성 동물과 동일시된다.[각주:16] 여성은 동물과 같으며,[각주:17] 그래서 스핑크스나 세이렌같은 동물 형상의 괴물은 항상 여자이다. 그리고 세이렌의 유혹을 극복하는 오디세우스의 설화는 키르케(circe)나 칼립소(calypso), 나우시카(nausicaa)에서도 나타났던 숙명과의 싸움을 은유한다. 여자 마법사이자, 노래와 늑대와 사자들의 주인이고 아름다운 머리카락을 지닌 키르케를 보라. 이러한 여성성을 극복하면서 오디세이아는 여성성에 대한 승리의 서사를 담고 있다.[각주:18]

 

마녀의 또다른 모습은 거미이다. 위고의 작품에서 어둠 속에 숨어, 사납고 기민하며, 죽음의 끈으로 자신의 먹이를 묶는 부정적인 동물이 거미이다. 사실 거미(araignee)와 아라크네(arachne)는 숙명(ananke)과 유사한 발음을 가진다. <파리의 노트르담>에서 클로드 프롤로는 운명에 대항하는 인간의 투쟁을 거미줄에 걸린 파리의 투쟁으로 비유했고, <타이탄>과 <에비라드누스(eviradnus)>, <사탄의 종말>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나온다. 레미제라블에서 거미는 어떤 때는 자베르로, 어떤 때는 테나르디에 부부의 식당으로 나타나는데, 그것들은 모두 코제트를 잡아 두려움에 떨게 하는 거미줄이다.[각주:19] 고대 멕시코에서 거미는 북쪽 지옥의 신 미크틀란테쿠틀리(mictlantecutli)의 상징이었다.[각주:20] 그리고 <웃는 사나이>에서 그윈플렌은 거미줄의 한복판에서 벌거벗은 여자를 발견한다.[각주:21] 신화학자 오토 랑크[각주:22]는 거미가 아이를 자신의 그물코 안에 가둔 까다로운 어머니를 상징한다고 주장했다.

 

실도 부정적 여성성과 연관된 이미지이다. 옛 노래인 페르네트(pernette)나 도피네 지방의 노래인 포르슈론(porcheronne), 그리고 18세기의 론도에서는 실을 잣는 여성에게 항상 성적인 의미가 부여된다. <오디세이아>에서 실은 인간 운명을 상징하는데, 거미와 마녀도 운명과 연결되었음을 주목하라. 엘리아데도 실이 난관과 죽음의 위험을 내포한 미로로 형상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줄은 시간에 대한 집착이나 시간의 의식과 죽음의 저주를 상징한다. 드조유의 보고[각주:23]에서도 환자들은 상승이나 고양을 거부할 때 자신을 뒤쪽에서 아래로 묶는 검은 줄들을 경험했다. 베다교의 두 죽음의 신인 야마(yama)와 니르티(nirrti)도 줄을 묶는 자이고, 이는 악마 우르트라(urtra)도 마찬가지다. 이란에서 아리만은 사악한 묶는 자이고, 호주나 중국에서는 악마 아란다(aranda)와 악마 포이(pauhi)가 그러하다. 독일에서 장례의 여신들은 줄을 들고서 죽은 자들을 소리쳐 부른다.[각주:24] 성경에도 죽음의 줄에 대한 다양한 암시가 등장한다. 구두끈과 줄, 매듭은 흔히 죽음의 신들을 특징짓는다.[각주:25]

 

엘리아데는 '묶다'와 '마법에 걸리다' 사이에 어원적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타타르어에서 bag와 bog는 둘 다 줄과 마법을 의미한다. 라틴어에서 파시눔(fascinum)은 주문을 뜻하는데 줄을 의미하는 파시아(fascia)와 비슷하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수레에 매달다'를 뜻하는 유클리(yukli)도 마술적 힘을 의미한다. 이러한 줄의 부정성은 이슈타르를 통해 종합된다. 이슈타르는 달의 신이자, 죽음의 신이자 중개자이고, 재난의 주인이면서, 악의 실/운명의 실을 묶거나 푼다.[각주:26] 줄은 거미와 문어, 그리고 사악한 마녀를 상징하며,[각주:27] 이는 묶는 자와 끈을 자르는 자의 구도를 형성하여 뒤에서 다룰 영웅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각주:28]

 

부정적인 여성성은 월경혈에 대한 혐오와 이어진다. 대부분의 민족에게 월경혈과 다른 피들은 모두 금기이다. 레위기는 월경혈이 불순한 것이라고 가르치고, 월경때 해야 할 일을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밤바라 족에게 월경혈은 원초적인 마녀-어머니인 무소 코로니의 순결하지 못함과 이와 연관된 여자들의 일시적인 불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것은 '초자연적이고 창조적이며 삶을 보호하는 힘들의 원칙적인 금지이다.'[각주:29] 또한 악의 원리인 완조(wanzo)가 괴물 무소 코로니의 이빨에 의해 생긴 원초적 할례에 의해 인간의 피 속에 침투해 들어온 결과이다. 그렇기 때문에 완조의 아이들을 몸에서 없애기 위해 절제든 할례든 여성은 피를 흘리는 희생을 할 필요가 있다.[각주:30]

 

여성들은 생리 기간 동안 성관계가 금지되고, 오두막에 격리되어서 자신이 먹는 음식에 손을 대서도 안된다. 오늘날에도 유럽의 농부들은 월경중인 여자가 버터나 우유, 포도주, 고기 등에 손대지 못하게 하는 관습이 있다. 성경과 <마누 법전>, 탈무드에서도 유사한 금기가 발견된다.[각주:31] 이 금기는 다소 본질적인 것이라서, 하딩은 폴리네시아어에서 금기(tabu, tapu)는 월경을 의미하는 tapa와 연결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다코타 족의 와칸(wakan)도 '월경중인 여자'를 의미하고, 바빌로니아의 안식일(sabbat)은 이슈타르의 생리 기간 동안 지켜졌는데 이는 달의 순환을 따라 한 달에 한번만 이뤄졌다. 사실 사바투(sabattu)는 '이슈타르의 안좋은 날들'이라는 뜻이다.

 

에드거 포의 작품에서는 월경혈을 넘어 전반적인 피에 대한 혐오가 드러난다. 포는 피를 모호하고 짓누르고 얼어붙은 어절이라고 표현했다.[각주:32] 바슐라르[각주:33]는 피는 결코 행복하지 않다며 피의 부정성을 표현했다. 윌리엄 제임스[각주:34]는 이러한 피에 대한 혐오가 본능적일수도 있다고 주장했는데, 사실 진화심리학적으로도 피에 대한 혐오는 거미나 뱀에 대한 혐오와 마찬가지로 상징성과 별개로 형성된다. 죽음의 신인 칼리(kali) 또는 칼라(kala)는 붉은 옷을 입고 입술에는 피가 가득 찬 두개골을 단 채로 핏빛의 바다를 항해하는 배 위에 서 있는 것으로 재현되는데, 그는 "피의 신이고 그녀의 사원은 오늘날 도살장을 닮았다."[각주:35] 그의 이름은 시간과 운명을 의미하는 칼라(kala)에서 파생되었으며, '얼룩진/더럽혀진'을 뜻하는 kalaka와도 연관된다. 동시에 더러움이나 잘못, 죄악을 뜻하는 kalka나 더러움, 불순함, 혼동스러움을 의미하는 kalusa와도 비슷하며, '검은/어두운'을 뜻하는 어근 kal과도 연결된다.

 

칼리와 비슷한 존재인 무소 코로니에도 주목해보자. 그는 어두움, 밤, 마법 등 빛과 맞서는 모든 것을 상징한다.[각주:36] 그는 조물주 펨바로부터 하얀 머리를 받았으나, 무소 코로니는 하얀 머리를 걷어차면서 순결함을 잃어버렸다. 그는 이제 창조주에게 협력하는 대신 피조물들을 괴롭히기 시작했고,[각주:37] 그의 폭력성에서 처음 월경이 시작되었다. 밤바라 족의 전승에 따르면 무소 코로니가 손톱과 이빨로 할례를 하는 순간 그녀에게서 피가 나왔다. 그때부터 그는 자신이 손대는 모든 것을 오염시켰고 우주에 악, 즉 고통과 죽음이 들어오게 되었다. 그는 미친 마녀, 짝짝이 샌들을 신고 들판을 울리며 미친 척하는 누더기를 걸친 노파로 묘사된다.

  1. Eliade, M. (1949). Traité d'histoire des religions: morphologie du sacré; le ciel: rites et symboles célestes, le soleil et les cultes solaires, la lune et la mystique lunaire, les eaux, les pierres sacrées, la terre, la femme et la fécondité,... [본문으로]
  2. Eliade, M. (1949). Traité d'histoire des religions: morphologie du sacré; le ciel: rites et symboles célestes, le soleil et les cultes solaires, la lune et la mystique lunaire, les eaux, les pierres sacrées, la terre, la femme et la fécondité,... [본문으로]
  3. Soustelle, J. (1940). La pensée cosmologique des anciens Méxicains (représentation du monde et de l'espace): conférences prononcées au Collège de France (chaire d'antiquités américaines, Fondation Loubat), 1939 (Vol. 1). Hermann & cie. [본문으로]
  4. Eliade, M. (1949). Traité d'histoire des religions: morphologie du sacré; le ciel: rites et symboles célestes, le soleil et les cultes solaires, la lune et la mystique lunaire, les eaux, les pierres sacrées, la terre, la femme et la fécondité,... [본문으로]
  5. Eliade, M. (1949). Traité d'histoire des religions: morphologie du sacré; le ciel: rites et symboles célestes, le soleil et les cultes solaires, la lune et la mystique lunaire, les eaux, les pierres sacrées, la terre, la femme et la fécondité,...;Krappe, A. H. (1952). La genèse des mythes. payot;Paris, 1952;Harding, M. E. (1976). Les mystères de la femme (No. 228). Paris: Payot. [본문으로]
  6. Sébillot, P. (1984). Le Folklore de France-La Flore. Editions Imago. [본문으로]
  7. Icard, S. (1890). La Femme pendant la période menstruelle. Psychologie morbide. Alcan;Krappe, A. H. (1952). La genèse des mythes. payot;Paris,p105 [본문으로]
  8. Harding, M. E. (1976). Les mystères de la femme (No. 228). Paris: Payot.p63;Krappe, A. H. (1952). La genèse des mythes. payot;Paris,p108 [본문으로]
  9. Nourry, E. D., & Saintyves, P. (1907). “Les” saints, successeurs des dieux: Essais de mythologie chrétienne. Nourry. [본문으로]
  10. Eliade, M. (1949). Traité d'histoire des religions: morphologie du sacré; le ciel: rites et symboles célestes, le soleil et les cultes solaires, la lune et la mystique lunaire, les eaux, les pierres sacrées, la terre, la femme et la fécondité,...;Krappe, A. H. (1952). La genèse des mythes. payot;Paris, 1952;Harding, M. E. (1976). Les mystères de la femme (No. 228). Paris: Payot. [본문으로]
  11. Eliade, M. (1949). Traité d'histoire des religions: morphologie du sacré; le ciel: rites et symboles célestes, le soleil et les cultes solaires, la lune et la mystique lunaire, les eaux, les pierres sacrées, la terre, la femme et la fécondité,...;Krappe, A. H. (1952). La genèse des mythes. payot;Paris, 1952;Harding, M. E. (1976). Les mystères de la femme (No. 228). Paris: Payot. [본문으로]
  12. Krappe, A. H. (1952). La genèse des mythes. payot;Paris [본문으로]
  13. Cellier, L. (1954). L'épopée romantique (Vol. 11). Paris, PU de France. [본문으로]
  14. Baudouin, C. (2008). Psychanalyse de Victor Hugo. Editions Imago. [본문으로]
  15. Baudouin, C. (2008). Psychanalyse de Victor Hugo. Editions Imago. [본문으로]
  16. Damourette, J., & Pichon, E. (1911). Des mots à la pensée;Baudouin, C. (1952). Le triomphe du héros: étude psychanalytique sur le mythe du héros et les grandes épopées. [본문으로]
  17. Pétrement, S. (1948). Le dualisme chez Platon, les gnostiques et les manichéens. Revue Philosophique de la France Et de l, 138. [본문으로]
  18. Baudouin, C. (1952). Le triomphe du héros: étude psychanalytique sur le mythe du héros et les grandes épopées. [본문으로]
  19. Baudouin, C. (2008). Psychanalyse de Victor Hugo. Editions Imago. [본문으로]
  20. Soustelle, J. (1940). La pensée cosmologique des anciens Méxicains (représentation du monde et de l'espace): conférences prononcées au Collège de France (chaire d'antiquités américaines, Fondation Loubat), 1939 (Vol. 1). Hermann & cie. [본문으로]
  21. Baudouin, C. (2008). Psychanalyse de Victor Hugo. Editions Imago. [본문으로]
  22. Rank, O. (2016). Le traumatisme de la naissance. République des Lettres. [본문으로]
  23. Desoille, R. (1938). Exploration de l'affectivité subconsciente par la méthode du rêve éveillé: Sublimation et acquisitions psychologiques. Préface de Charles Baudouin. Impr. H. Jéhan. [본문으로]
  24. Eliade, M. (1952). Images et symboles: essais sur le symbolisme magico-religieux. Les essais. [본문으로]
  25. Eliade, M. (1952). Images et symboles: essais sur le symbolisme magico-religieux. Les essais. [본문으로]
  26. Harding, M. E. (1976). Les mystères de la femme (No. 228). Paris: Payot. [본문으로]
  27. Comhaire-Sylvain, S. (1937). Les contes haïtiens (Vol. 1). De Messter. [본문으로]
  28. Eliade, M. (1952). Images et symboles: essais sur le symbolisme magico-religieux. Les essais. [본문으로]
  29. Dieterlen, G. (1988). Essai sur la religion bambara
    [본문으로]
  30. Dieterlen, G. (1988). Essai sur la religion bambara [본문으로]
  31. Harding, M. E. (1976). Les mystères de la femme (No. 228). Paris: Payot. [본문으로]
  32. 에드거 엘런 포.'아서 고든 핌의 모험'.김성곤 역.황금가지.2002;Bonaparte, M. (1933). Edgar Poe, sa vie—son oeuvre: étude analytique (2 vols.). Paris: Editions Denoel et Steele. [본문으로]
  33. Bachelard, G. (1942). L'eau et les rêves (Vol. 1993). Paris: José Corti [본문으로]
  34. James, W. (2007).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Vol. 1). Cosimo, Inc.. [본문으로]
  35. PRZYLUSKI, J. (1944). La Participation (Presses Universitaires, 1940)(Book Review). Revue de Métaphysique et de Morale, 49, 308. [본문으로]
  36. Dieterlen, G. (1988). Essai sur la religion bambara [본문으로]
  37. Dieterlen, G. (1988). Essai sur la religion bambara [본문으로]
Comments